강화 구제역 한 달…농민 ‘여전히 불안’_아이폰에서 포커스타를 플레이하는 방법_krvip

강화 구제역 한 달…농민 ‘여전히 불안’_텔레세나에서 이겼어요_krvip

인천 강화군에서 시작돼 충남 청양까지 번진 구제역 사태가 7일로 발생 1개월이 됐다. 강화군에서는 지난달 8일 처음 구제역이 발생한 후 지난달 27일 7차 발생을 끝으로 추가 확진 사례가 나오지 않고 있어 구제역 사태가 일단 진정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살처분으로 생계의 어려움을 겪는 농가 보상도 현재 절반 가량 이뤄졌다. 하지만 농민들의 불안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보상금은 대출 이자 등 부채를 갚고 나니 남는 게 없다. ◇ 강화 구제역 발생 1개월‥진정국면 접어드나 강화도에서 처음 구제역 의심 신고가 들어온 건 정부가 구제역 종식을 선언한 지 16일 만인 지난달 8일 오후. 선원면 금월리에서 한우 177마리를 키우는 이모(46)씨가 '기르는 한우 10마리가 젖꼭지와 입에 수포(물집)가 생기는 등 구제역으로 의심된다'며 방역당국에 신고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시료를 채취해 정밀검사를 벌였고 다음날 '혈청형 0형'의 구제역 확진 판정을 내렸다. 방역당국은 농장주가 구제역 발생 전 중국 여행을 다녀온 점, 중국산 조사료를 수입하는 일을 하고 있다는 점 등을 유력한 감염 경로로 추정했다. 정부는 이씨의 농장에서 반경 500m 내의 소와 돼지 2천584마리를 살처분하기로 했다. 내륙과 강화도를 잇는 강화대교와 초지대교 등 곳곳에는 이동통제소가 설치됐다. 그러나 첫 번째 구제역 발생 농가에서 각각 1.4㎞, 0.7㎞ 떨어진 선원면 한우농가 2곳과 3.5㎞ 떨어진 불은면 돼지농가에서 9일 의심 신고가 잇따랐고 이들 3개 농가는 모두 양성 판정을 받았다.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력이 소의 100∼3천 배에 달하는 돼지 농가에서 구제역이 터지자 방역당국과 농가는 모두 긴장했다. 방역당국은 예방적 살처분 범위를 발생 농가 주변 반경 500m에서 반경 3㎞로 확대했다. 그러나 그날 구제역 의심 신고 2건이 추가로 들어왔다. 정부는 구제역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격상했다. 구제역과 관련해 경계경보가 발령된 건 처음이었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조치에도 불구, 구제역은 19일 강화를 넘어 내륙지역인 경기도 김포시로 확산, 정부를 당혹하게 만들었다. 20일까지 추가 신고 없이 주춤하던 강화도에서도 21일 2개 한우농가에서 의심 신고가 들어왔다. 이 가운데 불은면 덕성리의 한우.염소 농가에서 확진 판정이 나왔다. 그리고 27일 오후 불은면 고능리 돼지농가에서 강화지역의 마지막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로써 1개월 사이 강화지역에서만 총 10개 농가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돼 7개 농가가 양성판정을 받았다. 살처분한 우제류 가축만 227개 농가 3만1천277마리나 됐다. 강화지역 전체 우제류 가축 6만7천258마리의 거의 절반인 46.5%에 해당하는 수치다. 강화군은 구제역 발생 첫날부터 매일 공무원과 경찰, 소방대원 수백명을 동원해 소독 작업에 총력을 쏟았다. 6일 오전까지 동원된 누계 인원만 1만4천300여명에 달한다. 42곳의 이동통제소 및 방역 차량 등에 쓰인 소독약품만 20여t, 생석회는 총 4만1천800여포대가 쓰였다. 군은 일단 구제역이 추가 발생하지 않자 구제역이 진정국면에 든 것으로 보고 있지만 방역작업은 계속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7일 "강화 구제역 발생지들이 초기 발생지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며 "이번 주말을 고비로 어느 정도 구제역이 끝날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살처분에 따른 농가 보상도 차례로 이뤄지고 있어 현재까지 모든 농가에 보상금의 50%를 임시로 지급했다"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달 초까지 418억원 가량으로 예상되는 보상금 가운데 190억원 가량을 농가 생활안정을 위해 선(先)지급한 상태다. ◇ 농가 "정부 보상금으론 부족" 현실가 보상 요구 정부가 예상 보상액의 50%를 농가에 선지급했지만 전 재산을 땅에 묻은 축산 농가들이 짧은 기간안에 '생활의 안정'을 되찾긴 어려운 상황이다. 강화군에서 2번째로 구제역 확진 판정을 받고 한우 85마리를 매몰한 선원면 냉정리 전모(54)씨는 "정부 보상금으로 우선 급한 대로 대출 이자를 내고 있지만 턱도 안 된다"라며 울상을 지었다. 구제역 최초 발생농가주 이씨도 살처분 보상금은 모조리 빚을 갚는 데 써야 할 형편이다. 이씨는 "최종 보상까지 정상적으로 받으면 약 7억원정도 나올 것 같지만, 부채를 갚고 나면 남는 게 없다"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불은면에서 젖소와 육우 212마리를 살처분한 한모(52)씨는 현실가와 맞지 않는 보상금에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처음 송아지를 낳는 젖소는 현 시세로 하면 340만∼350만원 가량인데 정부가 보상금 기준으로 발표한 시장가는 270만∼28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며 "유대(乳代) 보상금도 6개월이 아니라 최소한 1년은 보장해줘야 농가가 기지개를 켤 수 있다"라고 말했다. 농민들은 추가 구제역 발생이 없다는 점에 일단 한 시름 놓았지만 내륙에서 연일 구제역이 터지고 있어 여전히 마음을 졸이고 있다. 구제역 첫 발생농가주 이씨는 "구제역이 너무 빠르게 확산되니 마음이 편치 않다. 정말 내가 중국에 다녀와서 바이러스가 퍼졌는지.."라며 "정부가 하루빨리 과학적인 방법으로 구제역 유입 경로를 밝혀주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관광객 뚝 끊긴 강화 '청정' 이미지 회복 시급 구제역 발생으로 외부 손님의 발길이 끊겨 1개월째 매출에 타격을 입은 지역 상인들의 걱정도 가시지 않고있다. 하점면에서 유스호스텔을 운영하는 고재룡(52)씨는 "구제역이 주춤하는 것 같지만 관광객이 늘어나는지는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며 "구제역이 종식된다 해도 한 번 발길을 돌린 관광객을 곧바로 끌어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토로했다. 지역 상인들은 구제역으로 인한 매출 피해 보상도 보상이지만 '청정 강화'의 이미지를 되살리는 일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고씨는 "강화는 섬이라는 특성이 있어 육지와는 다르게 피해가 어마어마하다"며 "사람들이 다시 강화를 찾게끔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